본문 바로가기

보관소/문화사 &시사

광개토왕비 ===>>>>개설 & 내용 & 조작논란 (영상)





광개토왕릉비(廣開土王陵碑)는 현재 중화인민공화국 지린 성 지안 현 퉁거우에 있는 고구려 제19대 광개토왕의 능비이다



개설


414년 광개토왕의 아들 장수왕이 세웠으며, 응회암(凝灰岩) 재질로 높이가 약 6.39미터, 면의 너비는 1.38~2.00m이고, 측면은 1.35m~1.46m지만 고르지 않다.



대석은 3.35×2.7m 이다.네 면에 걸쳐 1,775자가 화강암에 예서로 새겨져 있다.


그 가운데 150여 자는 판독이 어렵다. 내용은 대체로 고구려의 역사와 광개토왕의 업적이 주된 내용이며, 고구려사 연구에서 중요한 사료(史料)가 된다. 


또한 전한(前漢) 예서(隸書)의 서풍으로 기록되어 있어 금석문 연구의 좋은 자료가 된다.


이 비석은 조선 후기까지 확인된 적은 없었다. 그러다가 의 만주에 대한 봉금제도가 해제된 뒤에야 비로소 발견되었다



내용








비석이 발견된 소식이 알려지자 여러 서예가나 금석학자들이 탁본을 만들었는데, 사람들이 보다 정교한 탁본을 만들기 위해 불을 피워 비석 표면의 이끼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비면의 일부가 훼손되었고, 또한 석회를 발라 비면을 손상시킴으로써 이후 연구에 논란을 일으켰다.

 특히 광개토왕릉비의 신묘년조는 아직도 큰 논란거리가 되고 있다.



비석은 대체로 세 부분으로 나뉜다.

 고구려의 건국부터 광개토대왕까지의 역사를 다룬 첫째 부분은 묘비 제1면 1행에서 6행까지이다.

 광개토왕의 정복 전쟁을 기술한 둘째 부분은 제1면 7행부터 3면 8행까지이다. 능비의 건립 및 수묘인에 관한 마지막 부분은 제3면 8행부터 제4면 9행까지이다


건국 역사와 광개토왕의 생애


아, 옛날 시조 추모왕께서 처음으로 (나라의) 기틀을 세우셨도다. (추모왕은) 북부여 출신이시니, 천제(天帝)의 아들이시고 어머니는 하백의 따님이시다. 알을 가르고 세상에 내려오시니 나면서부터 거룩한 △을 갖추셨도다. △△△△△△명(命), 수레를 타고 순행(巡幸)하며 남쪽으로 내려가시는데, 부여의 엄리대수(奄利大水)를 지나게 되었다. 왕께서 (대수)에 이르셔서 곧 "나는 하늘의 아들이고 어머니가 하백의 따님인, 추모왕이다. 나를 위하여 갈대를 잇고 거북을 띄워라"고 말씀하시었다. 그 말씀에 따라 바로 갈대가 이어지고 거북들이 떠오르자, 건너셨도다. 비류곡(沸流谷) 홀본(忽本) 서쪽에서 산 위에 성을 쌓고 도읍을 세우셨도다. 세속의 지위를 즐겨하지 않으시자, 하늘이 황룡을 내려 보내 왕을 맞이하셨도다. 왕께서는 홀본 동쪽 언덕에서 용머리를 딛고 하늘로 올라가시며, 세자 유류왕(儒留王)에게 도로써 잘 다스리라고 유언하셨도다. 대주류왕(大朱留王)께서 (나라의) 기틀을 이어 받으신 뒤, 십칠세손 국강상광개토경평안호태왕에 이르렀도다. 열 여덟 살(391년)에 왕위에 올라 연호를 영락(永樂)이라 했다. 태왕(太王)의 은택은 하늘에 두루 미쳤으며, 위무(威武)는 온 세상에 떨쳤도다. (태왕이) △△을 쓸어 없애 백성들이 편안하게 생업에 종사케 하시니 나라가 부강하고 민호(民戶)가 불어나며 오곡이 풍성하게 익었다. (그러나) 하늘이 돌보지 않아 서른 아홉 살(412년)에 세상을 떠나 나라를 버리시었도다. (그 뒤) 갑인년(414) 9월 29일 을유(乙酉)에 산릉(山陵)으로 옮기었도다. 이에 비를 세우고 훈적을 새겨 후세에 알리고자 하니, 그 기록은 다음과 같다[2].

[편집]

정복전쟁 부분

() 안은 보충 설명, ?는 훼손으로 알 수 없는 부분이다.

395년 기사 : 영락[3] 5년, 그때는 을미년이었다. 왕은 비려가 붙잡아간 사람들을 귀환시키지 않자 몸소 군대를 인솔하고 토벌에 나섰다. 부산을 지나 염수의 상류에 이르러 3개 부락, 6,700 영(營)을 격파하고, 수없이 많은 소와 말, 그리고 양떼를 노획하였다. 거기서 돌아오면서 양평도를 거쳐 동쪽으로 ?성, 역성, 북풍에 이르렀다. 왕은 사냥을 준비시켰다. 그리고 국토를 즐기며 구경도 하고 사냥도 하며 돌아왔다.

396년 기사 : (영락 6년, 병신년) : 백잔(百殘. 백제)과 신라는 옛날에 우리의 속민이었기에 조공을 해왔다. 그런데 신묘년(391년)에 왜가 와서 바다를 건너 백잔을 깨뜨리고 ????라를 신민으로 삼았다. 영락 6년에 왕이 몸소 수군을 이끌고 백잔국을 토벌했다. 우리 군사가 백잔의 국경 남쪽에 도착하여, 일발성, 구모로성, 각모로성, (중략), 종고로성, 구천성, 핍기국성을 공격하여 취했으며, 어느덧 백잔의 도성에 근접하였다. 그러나 백잔은 항복하지 않고 군사를 동원하여 덤볐다. 왕은 위엄을 떨치며 노하여 아리수를 건너 선두부대를 백잔성으로 진격시켰다. 백잔의 병사들은 그들의 소굴로 도망쳤으나, 곧 왕이 그들의 소굴을 포위했다. 그러나 백잔의 군주(아신왕)는 방도를 구하지 못하고 남녀 1천 명과 세포 1천 필을 바치고 왕 앞에 무릎을 꿇고 맹세하였다. "지금부터 이후로 영원토록 노객이 되겠습니다." 이에 태왕은 은혜를 베풀고 용서하여 후에도 그가 성의를 다하며 순종하는지 지켜보겠다고 했다. 이번에 모두 백잔의 58개 성, 7백 개 촌을 얻었다. 또한 백잔주의 형제와 백잔 대신 10인을 데리고 출정했던 군대를 이끌고 도성으로 돌아왔다. (논란 부분을 참고할 것)

398년 기사 : (영락 8년, 무술년) : 8년 무술년에 일부 군대를 백신의 토곡에 보내 순찰하도록 했다. 그 결과 막사라성, 가태라곡의 남녀 3백여 명을 잡아왔으며, 이로부터 조공하고 정사를 보고했다.

399년 기사(영락 9년, 기해년) : 9년 기해년에 백잔이 맹세를 위반하고 와 화통하였다. 이에 왕은 평양으로 내려가 순시했다. 그러자 신라가 사신을 보내 왕에게 아뢰기를 그 나라에는 왜인이 가득하여 성들을 모두 파괴하고, 노객(앞서 396년 기사에서 신라를 고구려의 신민이라고 불렀으므로, 여기서의 노객은 신라 왕인 내물왕을 뜻한다.)을 천민으로 삼았으니, 의탁하여 왕의 지시를 듣고자 한다고 하였다. 태왕은 인자하여 그 충성심을 칭찬하고, 사신을 돌려보내면서 밀계를 내렸다.

400년 기사(영락 10년, 경자년) : 10년 경자년에 태왕은 교시를 내려 보병과 기병 5만을 보내 신라를 구원하게 했다. 그때 남거성으로부터 신라성에 이르기까지 왜인이 가득했다. 관군이 그곳에 이르자 왜적은 퇴각하였다. 이에 우리가 왜적의 뒤를 추적하여 임나가라(아라가야)의 종발성(김해 분산성)에 이르자 그 성은 즉시 항복하였다. 이에 신라인을 안치하여 병사를 두고 지키게 하였다. 신라성, 감성 등에서 왜구가 크게 함락되었다. 성 안에 있던 10분의 9의 신라인들은 왜를 따라가기 거부했다. 이에 신라인을 안치하여 병사를 두게 하였다. 신라성 (내용 훼손으로 알 수 없음) 나머지 군은 궤멸되어 달아났다. 지금껏 신라 매금(이사금)은 스스로 와서 명령을 청하고 조공논사하지 않았다. 광개토경호태왕에 이르러 신라 매금은 명령을 청하고 조공하였다.

404년 기사(영락 14년, 갑진년) : 14년 갑진년에 가 법도를 어기고 대방 지역을 침략하였다. 그들은 백잔군과 연합하여 석성을 공략하였다. (훼손) 늘어선 배 (훼손) 왕은 몸소 군사를 이끌고 그들을 토벌하기 위해 평양을 출발하였다. 그리고 ???봉에서 적과 만났다. 왕은 적을 막아서며 대열을 끊고 좌우에서 공격하였다. 왜군은 궤멸되었고, 죽은 적은 수없이 많았다.

407년 기사(영락 17년, 정미년) : 17년 정미년에 보병, 기병 5만을 출병시키라는 명령을 내렸다. (훼손) 왕은 사방 포위작전을 지시했다. 적은 대부분 궤멸되었으며, 개갑(鎧鉀) 1만여 개와 수를 헤아릴 수 없는 많은 군자기계를 획득했다. 돌아오는 길에 사구성, 누성, 우불성, ?성, ?????를 격파했다.

410년 기사(영락 20년, 경술년) : 20년 경술년, 동부여는 옛날 추모왕(동명성왕)의 속민이었으나 중도에 배반하여 조공을 하지 않았다. 왕이 몸소 군대를 이끌고 토벌에 나섰다. 군대가 부여성에 이르자 부여는 거국적으로 두려워하여 굴복했다. 그리고 (훼손) 을 바쳤다. 왕의 은덕이 모든 곳에 미치자 환국하였다. 또 그때에 왕의 교화에 감화되어 관군을 따라 미구루압로, 타사루압로, 숙사사압로, ???압로 등이 왔다. 왕은 동부여 원정에서 64개 성, 1400촌을 공격하여 무너뜨렸다. (64개성, 14000촌이 일생동안 업적이라는 설이 있음) [4]




묘지기에 관한 규정

묘지기 연호(烟戶) 수는 매구여(賣勾余)의 백성 가운데서 국연(國烟)이 2집 간연(看烟)이 3집, 동해고(東海賈)에서는 국연 3집 간연 5집, 돈성(敦城) 백성 가운데서는 4집 모두가 간연, 우성(于城)에서는 간연 1집, 비리성(碑利城)에서는 국연 2집, 평양성(平穰城) 백성 가운데서는 국연 1집 간연 10집, △연(△連)에서는 간연 2집, △성(△城)에서는 간연 2집, 안부련(安夫連)에서는 간연이 22집, 개곡(改谷)에서는 간연 3집, 신성(新城)에서는 간연 3집, 남소성(南蘇城)에서는 국연 1집이다. 새로 들어온 한(韓)과 예(穢) 가운데는 사수성(沙水城)에서는 국연 1집 간연 1집, 모루성(牟婁城)에서는 간연 2집, 두비압잠한(豆比鴨岑韓)에서는 간연 5집, 구모객두(勾牟客頭)에서는 간연 2집, 구저한(求底韓)에서는 간연 1집, 사조성(舍조城)의 한(韓)과 예(穢) 가운데서는 국연 3집, 간연 21집, 고모야라성(古模耶羅城)에서는 간연 1집, 막고성(莫古城)에서는 국연 1집 간연 3집, 객현한(客賢韓)에서는 간연 1집, 아단성(阿旦城)과 잡진성(雜珍城)에서는 합해서 간연 10집, 파노성(巴奴城)의 한(韓) 가운데서는 간연 9집, 구모로성(臼模盧城)에서는 간연 4집, 각모로성(各模盧城)에서는 간연 2집, 모수성(牟水城)에서는 간연 3집, 간저리성(幹저利城)에서는 국연 2집 간연 3집, 미추성(彌鄒城)에서는 구연 1집 간연 11집, 야리성(也利城)에서는 간연 3집, 두노성(豆奴城)에서는 국연 1집 간연 2집, 오리성(奧利城)에서는 국연 2집 간연 8집, 모추성(模鄒城)에서는 국연 2집 간연 5집. 백제 남쪽에 사는 한(韓) 가운데서는 국연 1집 간연 5집, 대산한성(大山韓城)에서는 간연 6집, 농매성(農賣城)에서는 국연 1집 간연 7집, 윤노성(閏奴城)에서는 국연 1집, 간연 22집, 고모루성(古牟婁城)에서는 국연 2집 간연 8집, 전성(전城)에서는 국연 1집 간연 8집, 미성(味城)에서는 간연 6집, 취자성(就咨城)에서는 간연 5집, 삼양성(삼穰城)에서는 간연 24집, 산나성(散那城)에서는 국연 1집, 나단성(那旦城)에서는 간연 1집, 구모성(勾牟城)에서는 간연 1집, 어리성(於利城)에서는 간연 8집, 비리성(比利城)에서는 간연 3집, 세성(細城)에서는 간연 3집이다. 국강상광개토경호태왕이 살아계셨을 때 말씀하시기를 "선조 왕들께서는 원근 지방에 사는 구민(舊民)들만 데려다가 무덤을 지키고 청소를 하게 하였다. 나는 구민(舊民)들이 점차 고달퍼져 열악하게 될까 걱정이 된다. 때문에 내가 죽은 뒤 내 무덤을 지킬 자들은 내 스스로 돌아다니며 직접 데리고 온 한(韓)족이나 예(穢)족 들에게 수호·소제하는 일을 맡게 하라"고 하셨다. 그러므로 말씀하신 대로 한족과 예족 220집을 데려오게 하였다. 그러나 이들이 법칙을 모를까 염려되어 다시 구민(舊民) 110집을 데려와 새로 온 사람들과 합치니 묘지기 호수가 국연(國烟)30집, 간연(看烟) 300집이 되어 모두 330집이 되었다. 윗대 선조와 선왕(先王)이래 묘에 비석을 갖추지 못하여 묘지기 연호들이 착오를 일으켰다. 국강상광개토경호태왕은 선조와 선왕의 무덤에 모두 비석을 세우고 그 연호(烟戶)를 새겨 착오가 없도록 하셨다. 또 묘지기 제도를 제정하여 앞으로는 묘지기를 서로 팔아넘기지 못하게 하셨다. 아무리 부유한 사람일지라도 마음대로 사지 못하게 하고, 법령을 어기는 자 가운데서 파는 자는 벌주고 사는 자는 법을 만들어 그 자신이 묘지기가 되도록 하였다[2]




신묘년조 논란












신묘년조 논란은 영락 6년(395년) 기사에 실린 다음과 같은 부분에서 시작된 논란이다.

"百殘新羅 舊是屬民 由來朝貢 而倭以辛卯年來 渡海破百殘□□□羅 以爲臣民" -백잔과 신라는 옛부터 속민으로 조공을 해왔다, 그런데 신묘년(391년)에 왜가 와서 바다를 건너 백잔을 깨뜨리고 □□□라를 신민으로 삼았다.


이 부분의 내용은 1888년에 일본인 학자 요코이 다다나오가 쌍구가묵본(雙鉤加墨本)을 바탕으로 한 비문내용을 공개함으로써 세상에 알려졌다. 


후에 이 기사는 일본인 학자들에 의해 4세기 후반 진구 황후(신공황후)의 한반도 남부지역 정벌을 입증해주는 증거로 활용되었으며, 이후에는 임나일본부설로 이어진다.


이후 한국인 학자들에 의해 연구가 진행되면서 이 기사에 대한 다른 해석이 등장하였다. 



한학자이며 민족주의 역사학자인 정인보는 위 기사의 주어를 "倭"가 아닌 '고구려'로 보고, "신묘년 이래 왜가 도래하자 (고구려가) 바다를 건너 백잔을 치고 신라를 구원하여 신민으로 삼았다."로 해석한다. 이 해석이 현재 주류, 비주류를 가리지 않고 한국인 역사학자 대부분의 해석이다.



나아가 이후 재일 한국인 사학자 이진희가 비문 자체가 조작되었음을 주장하였고, 이형구는 비석 자체를 검토한 바, '倭'라는 글자는 '後'를 조작한 것으로, '來渡海破'라는 글자는 '不貢因破'를 조작한 것으로 주장하여, 비문을 "신묘년 이래 (백제와 신라가) 조공을 하지 않으므로, 백잔과 신라를 치고 신민으로 삼았다."라고 해석했다.



 재야사학자 박영규는 비문조작설은 부정하면서, 두 가지의 비문 해석이 모두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19세기 일본인 학자들의 주장처럼 왜가 백제와 신라를 신민으로 삼았다는 것은 백제 공격을 위한 광개토왕의 정당화작업으로 볼 수 있으며, 이후 민족주의 역사가들에 의한 해석은, 광개토왕이 본거지인 요동 지방에서 백제의 도성이 있는 한강 지역을 바로 공략하기 위해 수군을 동원했다고 해석할 수 있다는 것이다.



김병기는 '渡海破(도해파)' 부분이 정상적 비문과 다르며, 획의 부분을 따졌을 때, 원래 글자는 '入貢于(입공우)'라고 주장했고, 중국의 경철화(耿鐵華)는 '來渡海破'의 海에서, 부수인 삼수변(氵)이 종선 밖의 부분에 위치 있음을 통해 '海'가 아니라 라고 주장했다.




http://ko.wikipedia.org/wiki/%EA%B4%91%EA%B0%9C%ED%86%A0%EC%99%95%EB%A6%89%EB%B9%84





  1. 광개토왕 비문 전문 해석 - 다음 블로그 - Daum

     - 2006년 11월 26일
    blog.daum.net/daangoon - 일본사 X-file /일본천황은 백제왕자였다
    [광개토왕 비문]에서 고주몽이 태어난 곳이 북부여인데, 즉 천산의 북부여 출발지로부터 흑룡강성 나린하도 북부여였고, 그리고 위나라 때는 눈강 ...


  2. 광개토대왕비 비문에 대한 일본의 조작 왜곡 :: 네이버 블로그

     - 2012년 4월 13일
    blog.naver.com/manushya - 마음의 기적
    광개토대왕비 비문에 대한 일본의 조작 왜곡. 광개토대왕비에 얽혀 있는 문제의 내용은 "1884년 일본군대위 사코 가게노부[酒勾景信]가 《쌍구가 ...


  3. 1070명이 베껴 쓴 광개토왕비문 :: 네이버 블로그

     - 2013년 1월 12일
    blog.naver.com/bigfivek - 노인과 바다
    광개토대왕비문의 첫머리는 '유석시조추모왕지창기야(惟昔始祖鄒牟王之創其也)'로 시작한다. “오랜 옛날 시조이신 추모왕(동명성왕)이 나라를 ...


  4. 중국 지안서 고구려 비석 발견(광개토왕비문)

     - 2013년 1월 16일
    blog.daum.net/injang7788 - 전통인장보감
    기존 광개토왕비문 축소판…中당국 발행 '문물보' 공개 세계일보 | 입력 2013.01.16 19:13 [세계일보] 중국 지린(吉林)성에서 고구려 비석이 발견됐다. 고구려유



    1. 광개토대왕비 비문 왜곡 사건은 환단고기에 의해 풀린다. :: 한민족의 ...

      www.hwandangogi.or.kr/.../community.php?... - 저장된 페이지
      광개토대왕비 비문 왜곡 사건은 환단고기에 의해 풀린다. 광개토대왕비에 얽혀 있는 문제의 내용은.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0e78004c.bmp 원본 ...
    2. 광개토대왕비 비문에 대한 일본의 조작 왜곡 :: 한민족의 국통맥을 바로 ...

      www.hwandangogi.or.kr/.../community.php?mid... - 저장된 페이지
      광개토대왕비 비문에 대한 일본의 조작 왜곡. 광개토대왕비에 얽혀 있는 문제의 내용은 "1884년 일본군대위 사코 가게노부[酒勾景信]가 《쌍구가묵본(雙鉤加墨本)》을 ...
    3. '광개토대왕 비문 日 변조설' 이진희 교수 별세 | beseto 多文化硏究所

      blog.donga.com/kyujanghan/archives/4127 - 저장된 페이지
      2012. 4. 22. – 2012/04/18 13:39 추천 0 스크랩 0 http://blog.chosun.com/besetohan/6342086 원문출처 : '광개토대왕 비문 日 변조설' 이진희 교수 별세 원문링크 ...
    4. 서울경제 : 광개토대왕비문 압축한 듯… 중국서 새 고구려비 발견

      economy.hankooki.com/.../e20130116173402118220... - 저장된 페이지
      2013. 1. 16. – 중국 지린(吉林)성 지안(集安)시 마셴(麻線)향 마셴촌에서 기존에 알려진 광개토왕비문을 압축한 듯한 내용을 새긴 고구려 비석이 발견됐다. 광개토 ...
    5. 광개토대왕 비문 번역

      blog.ohmynews.com/songpoet/category/12288 - 저장된 페이지
      광개토대왕 비문 번역'에 해당되는 글 12건. 2012/07/11. 몽골과 고구리(고구려) 민족 설화의 유사성 (29) | 고들빼기. 2012/01/23. 광개토태왕의 5만 군사는 가야와 ...
    6. [인문]표상으로서의 광개토왕비문

      mybox.happycampus.com › 리포트 › 인문/어학 - 저장된 페이지
      서론```` 광개토왕비는 현재 고구려의 수도였던 지린성 지안시에 위치해 있다. 1580여 년 동안 비바람을 견뎌 온 광개토왕비는 6미터 남짓 크기로 그 위용을 떨치고 ...
    7. 광개토대왕비문의 일부를 지운 이유... - 다음 블로그 - Daum

      blog.daum.net/finebright/28 - 저장된 페이지
      2011. 9. 2. – 광개토왕비문은 모두 3단으로 구성 되어져 있는데.. 이중에서 근자에 말이 ... 혀서, 광개토대왕비문의 지워진 부분을 살펴 보고자 혀... 비문중에 이런 ...





#

시사교양 - 역사스페셜- 高句麗 비밀의 문 - 광개토왕비 - 유투브버젼

www.1korean.com.sg/docs/196653/page/391
2012. 4. 12.
역사스페셜- 高句麗 비밀의 문 - 광개토왕비 - 유투브버젼. 2009/04/07. 6034 views. 역사스페셜 高句麗 비밀의 문 광개토왕비...





[천지TV] '광개토왕비 원석탁본' 최초 공개 - Film Festival Information » Film Festival Videos

filmfestivalinformation.com/index.php?...
2012. 5. 13.
[천지일보=이효영 기자] 국내에서 처음 공개되는 '광개토왕비 원석탁본' 등 대표적인 한국 고대 문자 자료들이 한자리에 모입니다. 국 ..



.




광개토대왕 비문 재해석 part 1('부락' 및 '영'에 대하여) - YouTube

www.youtube.com/watch?v=4AOefjAxSN8
2012. 3. 11. - 업로더: wellup22
永樂五年歲在乙未王以[稗麗]不(歸)□人躬率往討 過[富山]負山至[鹽水]上破其三[部洛]六七百[營] 牛馬群羊不可稱數 광개토태왕비문에 나오는 구절 ...


  1. 좋은글 | 역사스페셜 비판 (광개토대왕 비문 재해석 Part 2/'부락'과 '영'에 대하여) - Daum 카페

    cafe389.daum.net/_..._/bbs_search_read?...
    2012. 4. 19.
    영(營)이라는 한자는. 宮(궁)+熒(형)을 합친 글자입니다. 궁(宮)은 건물 안에 방들이 이어져 있는 모양이고. 형(熒)은 촛불 또는 등불을 의미하는 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