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정음(훈민져ᇰᅙᅳᆷ, 訓民正音)은 조선 초기 세종대왕이 지은 책의 제목, 그리고 그 책에서 해설하고 있는 뒷날 한글로 불리게 된 한국어의 표기 문자 체계를 말한다. 한글은 1443년 조선 제4대 임금 세종이 창제하여 1446년에 훈민정음으로 반포하였다.
오늘날 남아있는 훈민정음의 판본 가운데 하나인 《훈민정음 해례본》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과 대한민국 국보로 지정되어 있다.
훈민정음의 판본에는 크게 해례본(한문본), 언해본이 있고, 그밖에 예의본이 있다. 실록본이 있는데, 이는 예의본에 속한다. 이 가운데 완전한 책의 형태를 지닌 것은 해례본이다.
훈민정음 해례본
《훈민정음 해례본》(訓民正音解例本)은 《훈민정음 원본》이라고도 부르며, 국보 제70호로 지정되어 있다. 1997년 10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록되었다.
내용은 “國之語音異乎中國(나라말 소리가 중국과 달라)……”로 시작하는 세종의 어제 서문과 본문에 해당하는 〈예의(例義)〉및 〈해례(解例)〉, 그리고 정인지가 쓴 〈서(序)〉로 구성되어 있다.
今正音之作
이제 훈민정음을 만드는 것은
初非智營而力索
처음부터 슬기로 마련하고, 애써서 찾은 것이 아니라
但因其聲音而極其理而已.
다만 그 (원래에 있는)성음(의 원리)을 바탕으로 이치를 다한 것 뿐이다.
理旣不二 則何得不與天地鬼神同其用也.
(음양의) 이치가 이미 둘이 아니니 어찌 천지 자연, (변화를 주관하는) 귀신과 그 사용을 같이 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正音二十八字 各象其形而制之.
훈민정음 스물 여덟자는 각각 그 모양을 본떠서 만들었다.— 《훈민정음 해례》(訓民正音解例), 〈제자해〉(制字解)
해례본은 1940년 안동에서 발견된 것과 2008년 상주에서 발견된 것 두 부가 존재한다.
안동본은 1940년 무렵 까지 경상북도 안동군 와룡면의 이한걸 가문에 소장되어 있었다. 그의 선조 이천이 여진을 정벌한 공으로 세종이 하사했다고 한다.
표지 2장에 본체 33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가로 20센티미터, 세로 32.3센티미터 크기이고, 처음 두 장이 망실되었는데 연산군의 기훼제서율을 피하기 위한것이다.
훗날 이것을 입수한 전형필은 6.25전쟁 때 이 한권을 오동상자에 넣고 피란을 떠났으며, 잘 때도 베게삼아 잤다고 한다. 상주본은 2008년 8월 상주에 사는 배모가 집 수리 과정에서 발견되었다고 공개했다.[1], 세 장이 떨어져 나간 상태이다.
그러나 골동품상을 하는 조모가 도난당한 것이라며 주장하여 소송이 오갔다.
상주본은 낱장을 비닐에 넣어 보관하고 있는데 이는 서적을 오히려 훼손할 우려가 있어 서적 보호에 관심을 기울여야 하나 분쟁으로 인하여 그마저도 여의치 않다.
민사 소송에서 대법원은 조의 손을 들어줬으며 문화재청에 기증했다. 배 씨는 형사 재판에서 1심에서 징역 10년을 선고받았다. 하지만 이 것이 안동 광흥사에서 복장유물이라는 논란이 제기되어 광흥사가 소속된 조계종이 반발했다.
그러나 2심 법원은 배에게 증거 부족으로 무죄 판결을 내렸다. 2심 과정에서 조가 주장하는 보관 과정과는 배치되고, 배와는 일치되는 증거가 나왔다.
재판부는 골동품상 조모씨등의 진술에 신빙성이 없고 직접 본 사람과 다른 점, 절취하였다는 날 직후에 공개된 점이 의심스러운 점을 무죄 선고의 이유로 밝혔다.
훈민정음 예의본
해례(解例)와 예의(例義)가 모두 포함된 해례본과 달리 예의 부분만 들어 있는 것을 예의본이라 부른다. 그런데 이 예의본은 단행본이 아니라, 《세종실록》과 희방사판(喜方寺版) 《월인석보》에 실린 것 등 여러 종류가 있다.
훈민정음 언해본
훈민정음 언해본은 해례본의 한 종류이나 편의상 따로 언해본으로 불린다.
언해본은 본디 한문(해례본/원본)으로 되어 있던 것이 1459년(세조 5년) 간행된 《월인석보》에 실린 훈민정음의 어제 서문과 예의(例義) 부분이 한글로 번역되어〈세종어제훈민정음(世宗御製訓民正音)〉으로 합본되어 있는 것이다. 이것을 통상 언해본이라고 한다.
훈민정음의 뜻
훈민정음은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는 뜻이다.
이 책의 의의
이 책은 한글의 창제 원리를 설명하고 있으며, 중세 한국어의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굉장히 중요한 책이다.
《해례본》에 포함되어 있는 있는 예의(例義)는 특히 창제 당시의 자체(字體)를 그대로 보이고 있어서 그 중 가장 높이 평가된다.
또한, 해례는 오랫동안 문제로 삼던 글자의 기원 등 여러 가지의 의문점을 밝혀 주고 있다.
《예의본》은 《해례본》이 발견되기 이전에 훈민정음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일차적 문헌이었다
- #
- 한국의 세계기록유산 - 훈민정음 - 유네스코한국위원회
- www.unesco.or.kr › ... › 한국의 세계기록유산 - 저장된 페이지훈민정음이란 백성을 가르치는 올바른 소리란 뜻이며, 조선 왕조 제4대 임금인 세종이 그때까지 사용되던 한자가 우리말과 구조가 다른 중국어의 표기를 위한 문자 ...
(훈민정음)의 창제 - 디지털 한글박물관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www.hangeulmuseum.org/sub/.../hun_min01.jsp - 저장된 페이지다른 하나는 문자 이름으로서의 훈민정음이다. 이곳에서는 이 두 가지 훈민정음에 대하여 다 언급하기로 하되, 훈민정음에 대한 정보의 가장 큰 원천은 무엇보다도 ..#www.youtube.com/watch?v=Sj9t3TgqThg2012. 6. 5. - 업로더: lsingleplayerl지식채널e를 따라한것 http://blog.naver.com/xorb문화재청 헤리티지채널 훈민정음 1부 한글해설서, 훈민정음 해례본
https://www.heritagechannel.tv/.../View.asp?...2013. 1. 4.광화문의 세종대왕 동상.세종대왕의 왼손에 들려있는 것은 훈민정음 해례본이다. 1997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된 훈민정음 해례본은 새 ...문화재청 헤리티지채널 훈민정음 해례본(상주본), 국가의 품으로
www.heritagechannel.tv/.../View.asp?...2012. 12. 5.지난 7일 오후 1시 국립고궁박물관 강당에서는 현재 절취·은닉되어 행방이 묘연한 훈민정음 해례본(상주본)을 소유권자(2011. 5525년만에 나타난 훈민정음 해례본-1.잠금해제2020 E06.120330 - YouTube
www.youtube.com/watch?v=j0SjBJbwYzQ2012. 5. 29. - 업로더: tvchanews공식홈페이지 : http://tv.ichannela.com/culture/unlock2020 최신영상 더보기 : http://tv.ichannela.com/culture ... #www.youtube.com/watch?v=dZLYS0sKVaw2012. 5. 26. - 업로더: siddhamworld상주에서 발견된 훈민정음 해례본의 실종 미스테리 동이문화원(東夷文化院) http://www.siddham.kr.
'보관소 > 문화사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6·15 남북 공동선언===>>> 의의 & 5개기본조항 & 평가 (0) | 2013.05.23 |
---|---|
전두환 =>>>>생애 & 독재 & 추칭금미납 (0) | 2013.05.22 |
전곡리 유적,=====>>>"세계 구석기시대의 연구 흐름을 바꿔 놓은 발견 (0) | 2013.05.21 |
부여 송국리====>>> 청동기시대 취락유적 (0) | 2013.05.21 |
불국사 ===>>>개념 & 역사 & 구조 (0) | 2013.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