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관소/문화사 &시사

이방원 (태종)===>>생애 &업적 & 조선건국(영상)


                                           이방원 (태종)

태종이 묻힌 헌릉 앞 문무(文武) 석상
태종이 묻힌 헌릉 앞 문무(文武) 석상
조선의 제3대 국왕
본명이방원(李芳遠)
재위1400년 11월 28일 (음력 11월 13일) ~1418년 9월 9일 (음력 8월 10일)
대관식1400년 11월 28일 (음력 11월 13일)
다른 이름정안군(靖安君), 정안대군(靖安大君), 왕세자
종교유교(성리학)
출생일1367년 음력 5월 16일
출생지고려 함경도 함흥 귀주동 사저
사망일1422년 음력 5월 10일 (56세)
사망지조선 한양
매장지서울특별시 서초구 내곡동 헌릉(獻陵)
왕비원경왕후
자녀총 29명 중 적자녀 8명:
정순공주 (1385년 출생),
경정공주 (13??년 출생),
경안공주 (1393년 출생),
양녕대군 (1394년 출생),
효령대군 (1396년 출생),
세종 (1397년 출생),
정선공주 (1404년 출생),
성녕대군 (1405년 출생)
부왕태조
모비신의왕후
이전 왕정종
다음 왕세종
왕조조선
묘호태종
시호공정성덕신공건천체극대정계우문무예철성렬광효대왕(恭定聖德神功建天體極大正啓佑文武睿哲成烈光孝大王)



태종(太宗, 1367년 6월 13일 (음력 5월 16일) ~ 1422년 5월 30일 (음력 5월 10일) 재위 1400년 ~ 1418년)은고려, 조선의 문신이자 조선의 제3대 임금이다.


 이(李), 는 방원(芳遠), 본관 전주(全州), 는 유덕(遺德)이다. 

왕자 때 받은 군호는 정안군(靖安君),정안대군(靖安大君)이고, 사후 시호는 태종공정성덕신공문무광효대왕(太宗恭定聖德神功文武光孝大王)이며 나중에 숙종 고종 때 존호를 더하여 정식 시호는 태종공정성덕신공건천체극대정계우문무예철성렬광효대왕(太宗恭定聖德神功建天體極大正啓佑文武睿哲成烈光孝大王)이다.


과거 급제 후 명나라의 사신으로 이색을 수행하였으며, 이성계를 제거하려던 정몽주를 제거하고, 반대파들을 제거하여 조선건국의 기틀을 다져놓았다.


 그러나 조선건국 이후, 건국에 기여한 전비 한씨 소생 자녀들은 외면하고 신덕왕후 소생 아들 중 세자를 정한 부왕과 정도전의 처사에 반발하여 제1차 왕자의 난 제2차 왕자의 난을 일으켜 반대파를 숙청하고 권력을 장악한다.

조선 태조 이성계 신의왕후 한씨의 다섯 번째 아들이며, 비는 민제의 딸 원경왕후(元敬王后)이다. 공신들을 추방하고 자신의 처남과 사돈 등의 외척을 숙청하여 왕권을 강화시켰다. 태조 이후 아직 왕권이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던 조선의 기틀을 다져서 사실상 조선의 창업 군주로 불린다.


1402년 탐라 성주가 인부(印符 : 朱記)를 왕에게 반납하여 조선에 완전 병합되었다.



생애

생애 초반


출생과 가계


태종 이방원은 1367년(공민왕 16년) 정미년 6월 13일(음력 5월 16일) 신묘일 고려 북동부, 함경도 함흥부(咸興府) 귀주대첩으로 유명한 귀주(歸州)의 사제(私第, 개인 소유의 집)에서 태조 이성계와 증 영문하부사(贈領門下府事) 안천부원군(安川府院君) 한경(韓卿)의 딸 신의왕후 한씨의 다섯 번째 아들로 태어났다. 


태조의 아들들이 대개 무인으로 성장했지만 이방원은 어릴 때부터 무예나 격구보다는 학문을 더 좋아했다고 한다.



태종실록에 의하면 아들의 탄생이 특이하다 생각되었던 어머니 한씨가 점장이 문성윤(文成允)에게 물었더니, 대답하기를 이 사주(四柱)는 귀하기가 말할 수 없으니, 조심하고 점장이(卜人)에게 경솔히 물어보지 말라고 했다 한다. 


훗날 그의 손에 죽는 남은은 어린 그를 보며 '이 사람은 하늘을 덮을 영기(英氣)이다.'라며 찬탄했다 한다. 유소년 시절 성균관에서 수학하면서 같은 마을의 길재와 학문을 강론하기도 하였고 한때 원천석(元天錫)에게서 가르침을 받았다는 일화가 전해온다.



과거 급제


1382년(우왕 9년) 진사시(進士試)에 합격하였고 1383년(우왕 10년) 문과에 병과 7등으로 급제하였는데 급제하였을 당시, 아버지 이성계와 어머니 한씨가 매우 기뻐하였다. 


그는 1388년 명나라에 파견되는 정조사의 서장관으로 이색을 따라 북경에 다녀온 이후, 아버지가 위화도 회군을 일으키자 가솔들과 함께 동북면으로 피신했으며, 아버지를 도와 고려 왕조 유지 세력을 제거하였다. 특히 부하인 조영무와 함께 정몽주 제거 계획을 세운다.


1390년 밀직사대언(密直司代言)에 임명되었고, 1391년 모후 한씨가 사망하자 개성군 상도리에 장사하고 시묘살이를 하였다. 그러나 정몽주 일파가 이성계를 제거할 계획을 꾸미자 계모 강씨는 명으로 여묘살이를 중단시키고 해주로 건너가 이방원을 개경으로 불러내었다.



역성 혁명 활동


정몽주, 온건파 제거


정적 정몽주

1392년(공양왕 4) 3월 아버지 이성계가 말에서 굴러 떨어져 부상을 당했다. 이성계는 병을 핑계로 은신했는데, 어머니 한씨의 상으로 경기도 영평에서 시묘살이 중이던 이방원은 계모 강씨의 급한 부름으로 개경의 집으로 되돌아왔다.


정몽주 등은 이성계의 낙마사건을 계기로 이성계 세력을 축출하고 그간의 개혁 법령을 폐지하려는 계획을 세운다. 정몽주는 이성계의 병문안을 빌미로 이성계의 가택을 방문하는 등 치밀함을 보인다. 이방원은 아버지 이성계에게 정몽주를 제거할 것을 권고하였으나 이성계는 신의를 지키겠다는 마음으로 반대하였다.


이성계는 이방원에게 이왕이면 정몽주를 설득하여 자기 세력으로 끌어들일 것을 당부했다. 이에 이방원은 정몽주를 자택으로 부르자 정몽주는 정세를 엿보러 이성계의 병문안을 핑계로 방문했다. 이후 이방원은 마지막으로 정몽주의 마음을 돌리기 위해 자택으로 불러들여 마주앉아 시조 한 수를 읊었다.



 이때 정몽주와 이방원이 주고 받은 시조가 바로 『청구영언』과 『가곡원류』, 『병와가곡집(甁窩歌曲集)』, 『해동가요』, 『시가』(詩歌) 등에 실려 있는 《단심가》(丹心歌)와 《하여가》(何如歌)이다.


此亦何如彼亦何如 / 이런들 어떠하리 저런들 어떠하리
城隍堂後垣頹落亦何如 / 만수산 드렁칡이 얽혀진들 어떠하리
我輩若此爲不死亦何如 / 우리도 이같이 얽혀 백 년까지 누리리라

《하여가》라는 제목의 이 시조는 망하기 일보 직전인 고려 왕실을 붙들려 하지 말고, 서로 사이좋게 지내 새로운 왕조를 창업하는 일에 동참하는 것이 어떠하겠느냐는 내용이었다.



정몽주는 이에 《단심가》로 그의 요청을 거부하였다.

此身死了死了一百番更死了 / 이 몸이 죽고 죽어 일백 번 고쳐 죽어
白骨爲塵土魂魄有無也 / 백골이 진토되어 넋이라도 있고 없고
鄕主一片丹心寧有改理歟 / 임 향한 일편단심이야 가실 줄이 있으랴



결국 정몽주는 결코 회유할 수 없는 인물이라고 결론을 내린 이방원은 무사를 보내 제거할 것을 지시하였고, 결국 선죽교에서 정몽주를 타살하였다. 정몽주가 죽은 후에 이 자리에서 대나무가 솟았다고 하여 선죽교라 부르게 되었다. 이어 그는 이색과 그의 두 아들 및 그의 제자인 이숭인, 길재 등을 축출하여 반대파를 제거했다.


그러나 훗날 방원은 1398년 정도전을 숙청한 뒤에 정몽주를 충철의 상징으로 현창시켜 익양부원군에 추증하고 영의정부사를 추서했다. 이는 정도전을 깎아내리기 위한 의도적인 행동이기도 했다는 일부 평가도 있다.



조선 건국



정몽주 등을 제거함으로써 이성계를 중심으로 한 신진 세력의 기반을 굳건하게 하여 새로운 왕조인 조선을 세우는 데 큰 공을 세웠다. 1392년 이성계가 태조로 등극함에 따라 이방원은 정안공(靖安公)에 봉해졌다.


원래 장자로 왕세자를 세워야 하는 것이 원칙이나, 조선 개국에 회의적이었던 태조의 장남인 진안대군 방우를 제치고, 신하들은 가장 유능한 왕자를 세자로 세우라고 주청을 올렸다. 


개국의 공로를 따지면 이방원이 태조의 아들 중 가장 많은 공을 세웠으나, 당시 "왕권(王權)보다 신권(臣權)으로 나라를 다스려야 국정이 안정된다"는 신권을 주창하던 정도전은 이방원이 왕위에 오르면 신권을 주장하는 자기들을 제거할까 봐 두려워 결국 왕세자로 태조의 막내아들이자 계비 신덕왕후 강씨 소생인 의안대군 방석을 선택하였다.


세자 책봉을 놓고 세자 책봉 1순위는 개국에 공을 세운 이방원이었으나 개국공신 간에 이견이 발생했을 때, 신덕왕후가 전각 뒤에 숨어서 이를 엿듣다가 통곡소리를 냈고, 그때 정도전 등은 무안대군 방번을 세자로 책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방번은 성격이 난폭하였으므로 뒤에 의안대군으로 교체되었다. 이 소식을 전해들은 방원은 심히 불쾌감을 드러냈고, 형제들을 찾아가 정실 부인의 자제를 두고 후실의 자제를 세자로 책봉하였다며 불만을 드러냈다.


왕자의 난

사촌이자 그를 지지지했던 이천우

정비인 신의왕후 한씨 소생의 왕자들은 이에 크게 불만을 나타냈으며 그것은 누구보다 조선 개국에 공이 컸던 이방원도 마찬가지였다. 


그러나 정도전이 왕자들의 정치 언급을 막고 급기야 사병 혁파를 기도하는 등 이방원과 마찰을 빚자, 이방원은 1398년에 부왕 태조가 와병 중임을 틈타 아내 민씨의 후원과 이숙번·하륜·조영무·숙부 이화·사촌 이천우·처남 민무구·민무질 등과 함께 제1차 왕자의 난을 일으켜 정도전·남은·심효생 등의 개국공신들과 이복 동생인 무안대군 방번·세자 방석 등을 살해하고 정권을 장악하였다. 


이 일이 있은후 얼마 안가 태조는 권력에 대한 회의를 느끼고 영안대군 방과에게 보위를 물려주고 함흥으로 떠났다. 왕위를 물려받은 태조의 둘째 아들 방과가 바로 조선의 제2대 국왕 정종이다.[1] 이때 아버지 이성계의 서형인 이원계의 아들들이 그를 지지한다.


하지만 형제들간의 다시 한번 분란이 발생하는데, 이방원의 넷째 형인 회안대군 방간이 박포의 꼬드김에 넘어가 왕위에 오를 목적으로 1400년 제2차 왕자의 난을 일으켰다. 이때에도 이화·이천우 등이 그를 도왔고, 상대적으로 우수한 장수들과 병사들을 가지고 있던 이방원은 쉽게 이 난을 진압하고 왕위에 한 걸음 더 다가가게 되었다.


 이후 박포 등을 처형하고 회안대군 부자를 황해도 토산으로 귀양보냈다. 이때에도 회안대군을 죽여야 된다는 여론이 나왔으나 그는 유배선에서 불문율로 부쳤다.


그해 음력 2월에 정종으로부터 왕세자로 책봉되었고, 책봉된 지 9개월 만에 정종의 양위를 받아 즉위하였다.



치세


사병 혁파와 법령 개정


태종의 어필 (御筆).[3]

태종은 조선 초기의 혼란을 종식시키기 위해 관제 개혁을 통한 왕권 강화와 유교 정치에 온 힘을 쏟았다. 사병을 혁파하여 병권을 일원화하고, 중앙 제도와 지방 제도를 새로히 정비하여 고려의 잔재를 완전히 없애고, 의흥부(義興府)를 폐지하여 병조의 지휘권을 확정하는 등 군사 제도를 정비하여 국방력을 강화했다


. 토지 제도와 조세 제도의 정비를 통하여 국가의 재정을 안정시켜 나갔다. 척불숭유 정책을 더욱 강화하여 사찰을 정리하고 사원전을 몰수하였다. 태종은 또 호패법·서얼금고법(庶孼禁錮法)을 실시했으며, 국방에도 힘써 야인을 다스리는 등 국가 기강을 안정시켰다.


사병 혁파는 정도전 일파 등이 사병을 거느린 것에 위기의식을 느꼈던 것 때문인데, 사병 혁파로 고려 이래 각 지역의 실권자들이 개인적으로 거느리는 사병 조직은 사라졌으며, 이들은 농부가 되거나 군역에 편입되었다.



관제 개정과 신문고 설치


태종은 6조 직계제를 통해 의정부와 6조의 관료들이 왕에게 직속되어 정무를 다스리도록 하였다. 그가 이렇게 관료들을 잘 제어할 수 있었던 것은 그가 고려 말기에 10년간 과거에 급제하여 관리로 지냈던 적이 있었기에, 관료들이 어떤 말을 하고 무슨 행동을 하는지 잘 알았기 때문이다.

태종은 1402년(태종 2년) 백성의 억울한 사정을 직접 풀어주기 위해 신문고를 설치하고 수도를 한양으로 다시 옮기는 등 국가 전반에 걸쳐 대대적인 개혁을 단행했다. 주자소를 세워 동활자를 제작했고, 호포(戶布)를 폐지하고 저화(楮貨)를 발행했다.


공신 숙청


태종은 왕권의 안정을 위해 자신을 등극하게 만들어준 공신들을 유배보내거나 처형했다. 이러한 태종의 노력이 바탕이 되어 당대와 다음인 세종 때에는 조선이 정치적 안정과 문화적·군사적 발전을 이루게 될 수 있었다.[3] 태종은 먼저 개국공신이자 자신의 옹립에 공을 세운 이거이 부자를 유배보내고, 공신이자 오른팔이었던 양성부원군 이숙번을 유배보낸 뒤 '사후 백년간 도성출입을 금지'하라는 금족령을 내렸다.


태종의 장인 민제는 개국 공신이었고, 그의 네 처남 민무구와 민무질, 민무휼 민무회 등은 모두 제1차, 제2차 왕자의 난 당시 태종을 도와 그를 왕위에 오르게 한 인물들이었다. 장인 민제의 가문이 외척으로 성장하면서 이들이 양녕대군을 지지하고, 그들 주변에 인물들이 결집하자 장인과 처남들을 과감하게 제거한다. 


장인 민제는 곧 병사했고, 장인의 죽음과 동시에 민무구와 민무질 형제를 유배했다가 사사케 하고, 이후 민무휼과 민무회도 사형에 처했다. 병석에 누운 장모 송씨도 곧 사망하여 그의 처가는 몰락하게 되었다. 또한 태종은 아내인 원경왕후를 교태전(交泰殿)에서 사실상 유폐시켜 왕비와 외척이 어떠한 정치적 개입도 하지 못하게 하였다.


1405년 태종은 권근의 주청을 받아들여 정몽주에게 대광보국숭록대부 영의정부사 수문전대제학 감예문춘추관사 익양부원군을 추증했다.

자기가 죽인 사람을 영의정에 추증함으로써 자신의 포용력을 대외에 과시하려는 의도였다.


서적 간행


1403년 태종은 주자소의 설치를 명하여 계미자(癸未字) 활판을 제작하게 했으며 직접 이를 감독했다.


 1413년에는 즉위 이후에 추진한 일을 총괄하여 '경제육전'으로 재편찬하였고, 원집상절(元集詳節)과 속집상절 (續集詳節) 2권을 간행하였했다. 

1414년에는 정도전이 편찬하려다가 중단한 《고려사》의 편찬 작업을 조준, 권근,하륜 등에게 명하여 계속 하게 하였으며, 권근과 하륜에게는 삼국사도 새로이 편찬하도록 명하였다.


집권 후반


둘째 아들 효령대군

1417년부터 퇴위 직전까지 그는 서운관(書雲觀)에 소장된 각종 예언 서적과 무속, 비기도참서를 혹세무민의 이유로 소각하도록 지시한다.


태종의 장남 양녕대군은 왕세자인데도 학문 연마를 게을리하고, 자유분방한 활동을 좋아했다. 양녕의 스승 계성군은 태종을 찾아와 수업의 불가함을 알렸다. 양녕대군은 각지에 기생들을 궁궐로 데려오기도 했는데, 태종은 양녕이 데려온 기생들을 곤장을 쳐서 궁궐 밖으로 내쫓기도 했다.


 양녕은 그럴 때마다 부왕 태종이 후궁을 많이 거느린 것을 언급하며 항변했다. 양녕대군의 폐위가 유력시되자 효령대군은 더 글공부를 열심히 한다. 그러나 양녕대군으로부터 부왕 태종과 모후 원경왕후가 충녕대군을 염두에 두고 있음을 넌저시 일러주자, 실망한 효령대군은 불가에 관심을 갖다가 후일 불교에 귀의하게 되었다.


1418년 2월 원경왕후에게서 얻은 넷째 아들 성녕대군이 시름시름 앓다 사망했다. 넷째 아들을 유난히 총애했던 그는 자신과 신빈 신씨에게서 낳은 서자 이인을 성녕군(誠寧君)으로 봉했다. 셋째 아들인 충녕대군은 눈병이 나고, 질환에 시달려 병석에 누우면서도 책을 옆에 끼고 있었다. 태종은 명하여 충녕이 책을 못보게 엄명을 내렸으나 충녕은 몰래 책을 숨겨놓고 병석에서도 책을 읽었다. 또한 병석에 누운 동생 성녕대군을 간호하는 모습이 태종에 눈에 들기도 했다.


1418년초 태종은 양녕대군이 하루 종일 방탕한 생활만 일삼는다는 이유를 들어 왕세자에서 폐위할 것을 결심한다. 아내인 원경왕후와 상의 끝에 양녕을 폐세자 하기로 하자 신하들은 찬성하였고, 황희 등 소수만이 반대하였다. 6월, 태종은 양녕을 왕세자에서 폐위하고 셋째 아들인 충녕대군을 왕세자로 삼았다. 이 과정에서 양녕대군 폐위에 반발할 가능성도 있다고 생각되는 그의 장인 김한로 역시 외지로 유배보냈다.



퇴위와 죽음


심온 제거


태종은 1418년 8월 10일에 옥새를 충녕에게 넘긴 뒤 수강궁으로 물러났다. 양위를 거두어달라는 청을 거절함으로써 왕위를 물려주고 상왕으로 물러났다. 


그러나 상왕이 된 후에도 그는 4년간 줄곧 국정을 감독하였고, 병권과 인사권을 장악하였다. 1418년 11월 8일 ‘성덕신공상왕(聖德神功上王)’이라는 존호를 받았다. 1419년에는 형 정종이 사망했는데, 《정종실록》은 태종 생전에 간행되지 못하고 태종이 죽은 뒤에 편찬, 간행되었다.



태종은 며느리 소헌왕후의 아버지 심온을 숙청할 계획을 세웠다. 병조참판 강상인이 정무를 자신에게 보고하지 않고 사위인 세종에게 보고한 것을 빌미삼아 그를 제거할 계획을 세웠고, 심온을 영의정부사에 임명한 뒤 명나라에 사신으로 보냈다. 


그는 국문을 친히 주관하며 강상인에게서 심온의 이름이 거론되게 하였고, 심온이 돌아오기 전 강상인과 심정, 박습, 이관 등을 처형한다. 대질심문할 용의자나 증인도 없는 상태에서 심온은 사사되었다. 이후 왕비 소헌왕후가 역적의 딸이라는 이유로 폐출해야 된다는 주장이 나타났으나 그는 이를 일축했다.



최후



1421년 9월 7일 의정부에서 이미 상왕이었던 태종의 휘호(徽號)를 올릴 것을 청하여, 개국의 공을 인정받아 태상왕으로 진봉되어 9월 12일 ‘성덕신공태상왕(盛德神功太上王)’으로 존숭되었다. 


7개월 후인 1422년 4월, 날씨도 화창하여 세종과 함께 철원의 고석정(高石亭) 근처에서 사냥을 하여 노루 · 멧돼지를 한 마리씩 잡았고, 또 22일에는 다시 세종과 동교(東郊)에서 매사냥을 하다가 낙천정(樂天亭)에서 쉬기도 하였는데 이날 태종은 환궁하였다가 자리에 눕게 되었다. 


그리고 보름이 넘게 병석에 있다가 1422년 5월 10일, 천달방(泉達坊) 신궁(新宮))[주 2]에서 세종, 양녕대군, 효령대군 등 아들들과 후궁 및 그 자식들, 그리고 신하들이 애통해 하는 가운데 조용히 눈을 감았다.


 일찍이 왕권을 물려준 태종은 줄곧 세종의 왕권 안정을 위해 노력하다가 수강궁에서 승하한 것이다. 그의 나이 56세가 되는 해였다.


위키백과






냉혹한 군주 태종 이방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