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관소/문화사 &시사

[김대건신부의 탄생지] 솔뫼성지 ==>한국천주교 신앙의 출발점


솔뫼성지




이중환은 《택리지》에서 내포를 ‘충청도에서 제일 좋은 땅’이라 하였다.
‘내포’는 바닷물이 육지 깊숙이까지 들어와 포구를 이루어 배들이 드나들며
새로운 문물을 전해주는 장소이다.

내포를 비롯하여 서해안 여러 지역에는 1784년 이승훈 세례 이전부터
중국으로부터 건네지는 서학 내지 천주교 문화와 신앙을 접하고 있었다.
특히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이후 확산되었던 실학사상의 분파인 서학이
내포 선비들의 관심사가 되었다.


내포의 서학자들은 서울의 실학자들과 교류를 하면서 내포의 양반, 중인, 서민 등 모든 계층에서 천주교로 발전하였다.

김대건 신부님의 10대 선조인 김희현이 아산 현감을 역임하면서 가문이 내포와 인연을 갖게 되었다.


9대 선조인 김의직이 충청병마절도사를 지내며 임진왜란에서 전훈을 세우자 가문이 대대로 토지와 벼슬을 보유하게 되었다.


사헌부감찰과 통훈대부를 지낸 8대 선조인 김수완 때부터 가문은 솔뫼에
거주하기 시작하였다.

1784년경 김대건 신부님의 백조부 김종현과 조부 김택현이 내포 사도 이존창의 권유로 서울 김범우의 집에서 교리를 받고 천주교에 입교하자 가장인 증조부 김진후(비오)도 입교하여 가문이 천주교 신앙으로 귀의, 솔뫼를 ‘내포 신앙의 못자리’로 만들었다.


김 신부님 가문은 천주교 신앙에 귀의한 후 잦은 박해로 가족들이 여러 차례
투옥되고 고문을 받다가 순교까지 하여 솔뫼를 ‘순교자의 고향’으로 만들었다.

1906년부터 합덕본당 주임 크렘프 신부님은 솔뫼를 성역화하기 위하여 인근의 토지매입을 시작하였고, 1945년에는 백 빌리버 신부님이 솔뫼에 김대건 신부 복자비(福者碑)를 설립하였다.


1973년부터 솔뫼 성역화 사업을 계획적으로 시작하여 1982년에 대전교구는 순교자 신앙을 가르치고 전하는 ‘솔뫼 피정의 집’을 건립하여 솔뫼성지를 ‘순교자 신앙의 학교’로 삼았고, 국가와 지자체의 도움으로 2004년에는 김대건 신부님 생가를 복원, 2005년에는 김대건 신부님 기념관을 건립하여 이제 솔뫼성지는 ‘순교자 신앙과 문화의 전당’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소나무가 뫼를 이루고 있다’하여 순우리말로 ‘솔뫼’라 이름 붙여진 곳으로, 한국 최초의 사제인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님이 탄생하신 장소이다.


증조 할아버지 김진후(비오 1814년 해미에서 순교), 작은 할아버지 김종한(안드레아 1816년 대구 관덕정에서 순교), 아버지 김제준(이냐시오 1839년 서울 서소문 밖에서 순교), 그리고 김대건 신부님(1846년 서울 한강 새남터에서 순교) 등 4대의 순교자가 살던 곳으로, 김 신부님의 신앙과 삶의 지표가 싹튼 장소로, ‘한국의 베들레헴’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님은 이곳(현 당진시 우강면 송산리, 당시에는 면천 고을 솔뫼)에서 1821년 8월 21일 태어났다.


그러나 이미 증조 할아버지와 작은 할아버지가 순교한 천주학 집안이어서 가세는 기울대로 기울었고, 또 어느 때 새로운 박해가 닥칠지 몰라 할아버지 김택현은 대건이 7살 되던 해에 경기도 용인군 내사면 남곡리 ‘골배마실’이라는 산골로 이사하였다.


김대건 소년은 그곳에서 15세 때인 1836년 모방 신부님에 의해 신학생으로 선발되어 최양업(토마스)과 최방제(프란치스코)와 함께 마카오로 유학하여 신학을 공부했고 상해(上海) 진쟈상(金家巷:김가항) 성당에서 고 페레올 주교님으로부터 사제서품을 받았다.


1845년 조선에 입국한 김 신부님은 선교활동에 힘쓰는 한편 외국 선교사들을 영입하기 위해 힘쓰다 1846년 6월 5일 순위도 앞바다에서 체포되었다. 1846년 9월 16일 서울 한강변 새남터에서 군문효수형을 언도받고 순교하였다.


사제 생활 1년 1개월 만의 일이었다. 1925년 7월 5일 복자품, 1984년 5월 6일 가톨릭 교회의 성인품에 올려졌다.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님은 조선 최초의 방인사제이며 현실을 직시하고 진리를 외치던 선각자였다.


또한 우리나라 최초의 양학 유학자이며 조선의 최장거리 여행자이고 연평도에서 상해까지 항해한 최초의 서해 항로 개척자이기도 하다.
1845년 초 우리나라 최초로 조선전도를 만들었으며, 저서로는 21편의 서한이 있고, 한국 교회사에 관한 비망록 등이 있어 79위 시복자료가 되었다.

1906년, 당시 합덕 성당의 크램프 신부님은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님의 순교 60주년을 맞이하여 김 신부님의 생가터를 고증하였고, 1946년 순교 100주년을 맞아 순교 기념비를 세우면서 성지는 조성되기 시작하였다.


현재 충청남도 지정문화재 제146호로 지정된 솔뫼성지는, 1만여 평의 소나무 군락지와 더불어 김대건 신부님의 생가가 복원되었고, 기념관과 성당, 솔뫼 아레나(야외공연장 겸 야외성당), 순례자 식당, 그리고 넓은 주차장을 갖춘 가운데, 광활한 내포 평야의 한 복판에 자리하면서 한국천주교회 안에 영적인 양식을 공급하고 있다



http://www.solmoe.or.kr/home/


한국최초의 신부 김대건의 탄생지, 솔뫼성지


충청남도 서해안에는 오목하게 들어간 내포(內浦)라는 지역이 있다. 내포라는 지명은 ‘바다나 호수가 육지 안으로 휘어 들어간 부분’이란 뜻을 지니고 있다. 이곳에는 밀물 때면 삽교천을 따라 배들이 들어왔고 이 물길을 따라 쌀, 상품 등 교역이 이뤄졌다. 충청남도 서북부 당진, 예산, 홍성, 서산 등을 포괄하는 내포지역은 한국 천주교가 시작된 곳이자 가장 많은 순교자들이 나온 곳이다.

 오는 8월 성인의 전 단계인 복자품에 오르는 순교자 124명 가운데 49명이 내포 출신이다.


프랑스 사제들은 바닷길을 따라 이 지역으로 들어왔고 천주교 교리를 전파했다. 19세기 내포 일대에는 1백 가구 중 80가구 이상이 가톨릭 신자였다고 말할 정도로 천주교가 확산되었고 박해를 받는 과정에서 많은 순교자가 나왔다. 제7대 조선 교구장 블랑(Marie Jean Gustave Blanc) 주교는 1884년 보고서에서 “이곳은 옛날 가장 잔인한 박해가 일어났던 곳이다”라고 기록했다.



솔뫼성지는 한국최초의 신부 김대건의 생가가 있는 곳으로 증조부, 부친을 비롯해 4대에 걸친 순교자를 배출했다. (사진: 전한)

 

솔뫼성지는 한국최초의 신부 김대건의 생가가 있는 곳으로 증조부, 부친을 비롯해 4대에 걸친 순교자를 배출했다. (사진: 전한)

 

솔뫼성지는 한국최초의 신부 김대건의 생가가 있는 곳으로 증조부, 부친을 비롯해 4대에 걸친 순교자를 배출했다. (사진: 전한)

▲ 솔뫼성지는 한국최초의 신부 김대건의 생가가 있는 곳으로 증조부, 부친을 비롯해 4대에 걸친 순교자를 배출했다. (사진: 전한)

충청남도 당진 솔뫼(Solmoe)성지에는 한국인 최초의 사제 김대건(Kim Dae-gun, Andreae) 신부의 생가가 있다. ‘솔뫼’란 소나무가 우거진 작은 동산이란 뜻이다. 그의 증조부 김진후(Pius), 종조부 김종한(Andreae), 부친 김제준(Ignatius)까지 4대에 걸친 순교자가 살던 곳이다. 이 집안에서만 11명의 순교자가 나왔다.


1836년 16세의 김대건은 프랑스인 모방(Maubant) 신부에게 세례를 받고 최양업, 최방제와 함께 반년이나 걸어서 마카오로 유학을 갔다. 상해에서 페레올(Jean Joseph Ferreol) 주교로부터 사제품을 받고 한국 최초의 신부가 됐다.


 1845년 페레올 주교, 다블뤼(안돈이, Marie Nicolas Antoine Daveluy) 주교와 함께 귀국하여 활발한 선교활동을 벌였으며 현재 신리성지로 불리는 교우촌을 방문했다. 1846년 주교의 지시로 선교사 영입을 위한 새 통로 개척을 위해 백령도에서 청나라 어선과 접촉하던 중 황해도 순위도에서 관헌에게 체포되면서 서울로 압송됐다. 김대건 신부는 감옥에서 페레올 주교와 교우들에게 보낸 편지에서 “그리스도의 이름을 위하여 결박 당했고 그리스도의 권능을 굳게 믿고 있습니다. 하느님께서 저로 하여금 혹독한 형벌을 끝까지 용감하게 이겨낼 수 있도록 도와주시기 바랍니다”고 자신의 뜻을 밝혔다.


김대건 신부는 1846년 9월 16일 조선시대 때 서울 새남터의 처형장에서 나무에 목을 매다는 효수형에 처해졌다. 사제 생활 1년 1개월 만이었고 이때 불과 스물다섯이었다. 그는 순교하기 직전에 “저는 주님을 위해 죽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영원한 생명이 저에게 시작되는 것”이라고 유언을 남겼다.

 (위)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의 동상. (아래) 8월 프란치스코 교황의 방한을 앞두고 솔뫼성지에 교황의 사진이 걸려 있다. (사진: 전한)

 (위)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의 동상. (아래) 8월 프란치스코 교황의 방한을 앞두고 솔뫼성지에 교황의 사진이 걸려 있다. (사진: 전한)

▲ (위)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의 동상. (아래) 8월 프란치스코 교황의 방한을 앞두고 솔뫼성지에 교황의 사진이 걸려 있다. (사진: 전한)

천주교 대전교구는 1996년 김대건 신부 순교 150주년 기념사업으로 생가복원을 결정하고 2004년 생가 안채를 복원했다. 솔뫼성지에는 김대건 동상, 기념성당, 기념관, 솔뫼아레나(야외극장) 등이 조성돼 있다. 기념관에는 김대건 신부의 친필 편지 외에도 일기, 1845년 그가 그린 조선전도, 초상화 등이 전시돼 있다. 

조선전도는 프랑스 지리학회를 통해 조선을 알리는 계기가 됐다. 김대건 신부는 영어, 프랑스어, 라틴어, 중국어에 능통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편지는 라틴어로, 일기는 중국어로 쓰여졌다. 22편의 편지와 일기는 귀중한 시복 자료가 됐다. 8월 솔뫼성지에서 제6회 아시아청년대회 개막미사가 열리며 프란치스코 교황과 청년들이 만남을 갖는다.

솔뫼성지의 이용호 바오로 주임 신부는 "한국 최초의 신부이자 성인인 김대건 신부는 계급사회 조선에서 모든 이의 평등과 신앙의 자유를 꿈꾼 사상가였다"며 "하느님 앞에서 만인이 평등하다는 주장은 노비제도의 폐지를 말하는 것으로 조선사회에 큰 위협일 수 밖에 없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김대건 신부는 조선후기 최초의 유학생으로 시대적 상황에 대한 이해가 깊었다. 그가 순교를 앞두고 쓴 편지에서 자신의 순교를 슬퍼하지 말라고 썼는데 신자들이 수없이 베끼고 외웠다"고 말했다.

솔뫼성지를 방문하려면 동서울터미널(하루에 2번), 남부터미널(하루 6번)에서 출발하는 버스를 이용하면 된다. 더 자세한 정보는 솔뫼성지 홈페이지(http://www.solmoe.or.kr/home/) 또는 041-362-5021~2로 연락하면 된다.

(위) 복원된 김대건 신부의 생가. (아래)

 

(위) 복원된 김대건 신부의 생가. (아래)

▲ (위) 복원된 김대건 신부의 생가. (아래) "김대건 신부가 평등과 신앙의 자유를 꿈꿨다"고 설명하는 솔뫼성지의 이용호 바오로 주임 신부. (사진: 전한)

내포 천주교 성지의 지도

▲ 내포 천주교 성지의 지도



http://www.kocis.go.kr/


#




한국천주교 신앙의 출발점 충남 '솔뫼성지'에 가다









솔뫼성지 해미성지